서울스타병원
닫기
퀵메뉴 열기
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암검진 지정병원
평 일AM 9:00 ~ PM 6:00 토요일AM 9:00 ~ PM 1:00 일요일, 공휴일은 휴진입니다.
전화상담/예약02-2604-9300

주요진료클리닉

족부클리닉

고객을 가족처럼 생각하며 성심을 다하는 서울스타병원이 되겠습니다.

족 관절 불안정증

족 관절 불안정증

발목의 손상은 주로 스포츠 손상으로 운동선수에게 많이 생기지만, 현대에는 스포츠를 직접 즐기는 인구가 많아, 일반인에게도 자주 볼 수 있는 손상 중에 하나로 가장 많은 손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발목 및 발의 통증은 타 부위와 다르게 수많은 뼈와 관절, 인대, 건, 근육 등이 다양하게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발목 손상 시에 그 질환도 다양하다.
발목의 내측이냐 외측이냐 전방이냐 후방이냐에 따라서 그 손상이 각각 다르지만 대표적인 것만 기술을 하기로 합니다.

발목 외측의 손상

족관절부 염좌 및 만성 족관절부 염좌 (Ankle sprain & Chronic ankle instability) 만성 족관절부 염좌는 족관절의 외측부 동통의 가장 많은 원인으로 빈번한 족관절 염좌나 방치된 치료 등에 의해 발생되고, 운동선수들은 대개 족관절 부위의 불안정감과 급방향 전환이나 급정지 등의 동작이 불편하다고 호소하게 됩니다.

이학적 검사 상에서는 족관절의 전거비인대 부작부나 종비인대 부위의 압통이 발견되고 족관절의 전방전위검사에서 3도 전위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료는 Aircast 등의 발목보조기와 비골건 강화운동을 약 10주간 시행하고, 그래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동반손상에 의해 해결되지 않으면,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수술은 해부학적 방법과 비골건 등을 이용한 비해부학적 방법이 사용가능하나, 운동선수들에게는 해부학적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Gould에 의해 하신전건막(inferior extensor retinaculum)을 덧붙여 주는 변형 Brostrom술식이 유행중이다.
수술 후에는 약 4주간의 석고붕대고정을 시행하고 약 6주부터 가벼운 조깅을 시키고, 약 3개월경 스포츠로의 완전 복귀를 시키는 것이 일반입니다.

  • 만성불안정으로 손상된 족관절과 관절 내 유리체

    만성불안정으로 손상된 족관절과
    관절 내 유리체

  • 관절 내 유리체 제거와 하신전건막을 덧붙여 주는 변형 Brostrom술식의 예

    관절 내 유리체 제거와 하신전건막을
    덧붙여 주는 변형 Brostrom술식의 예

Syndesmosis 염좌 보통 high ankle sprain이라고 불리는 족관절 손상으로 대개 족관절 염좌와 동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진단이 안되거나 무시해서 나중에 후유증이 남는 일이 많은 손상입니다.
특히 운동선수에게 발생하면 때로는 심한 후유증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기울여서 진단을 해야 할 손상입니다.

운동선수들에게는 갑작스러운 족관절의 족배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때로는 족관절의 골절이 있을 때 동반되기도 합니다.
염좌의 정도에 따라 치료가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족관절 염좌의 2배 기간 고정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완전 파열일 경우 syndesmosis screw로 고정을 하기도 한다.
진단방법으로는 방사선 촬영, CT 등으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calf squeezing 검사에서 양성을 보이면 의미가 있습니다.
수술 후 screw를 술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6주 내지 3개월 가량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발목 내측의 손상

족관절 삼각인대 염좌 족관절에서의 삼각인대는 외측인대보다 약 10배가량 두껍기 때문에 완전 파열은 매우 드물지만, 족관절 골절이 발생할 때 발생할 수도 있고, 염좌가 되는 경우는 상당히 흔하다.
그리고 운동선수에게서의 삼각인대 손상은 상당히 오랜 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치료는 매우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주인데, 수술까지 가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장모지굴건염(FHL tendinitis) 장모지굴건염은 일반인들에 비해 스포츠 운동선수에게 현저하게 많은 질환입니다. 특히 달리기를 하는 모든 질환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종목에 걸쳐 발생합니다.
하지만, 장모지굴건염에 익숙해 있지 않은 의사나 트레이너, 물리치료사들은 진단 시 때때로 놓치게 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모든 건염에서 처럼 땀이 나면 증상이 완화 되는 수가 많고, 족관절 만성 염좌가 있을 때, 많은 경우 같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대개 바깥뒤쪽 발목이 답답하다거나 아픈 증상이 있어서 마치 아킬레스 건이 아픈 것으로 혼동되기 쉽습니다. 대개 거골제 밑의 부위에 부종이나 압통이 있고, Tomasen 검사 양성이면 임상적으로 확진을 하게 된다. 치료는 먼저 운동을 쉬게 할지, 운동을 시키면서 할지가 중요한데, 그 기준은 땀이 나도 아프고, MRI 등에서 건의 손상이 확연하게 보이는 경우에 운동을 중지하고 하도록 합니다. 먼저 물리치료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없애는 방법이 중요하고, 이후 장모지굴건 및 아킬레스건의 스트레칭과 강화운동 등이 후일 시행되어야 합니다.

한편, 운동을 진행시키면서 치료할 경우에는 운동시작 전 warming-up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jump나 산을 뛰는 등의 운동은 약 3개월간 금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강력재활치료를 약 3 내지 6개월 시행해도 문제가 있다면, 장모지굴건 건초유리술(FHL release)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은 족관절 내측부위에 피부절개를 시행하고 굴건막(flexor retinaculum)을 절개한 다음 후경골 신경 및 그 분지를 젖힌 상태에서 장모지굴건의 섬유골성 터널이 나타나면 이를 유리하면 된다. 수술 후 약 3주간 석고붕대를 시행하고, 이후 물리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대개 완전운동 복귀하는 시간은 약 3개월 정도입니다.

발목 전방의 손상

족관절 전방충돌 증후군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족관절 전방 충돌 증후군은 운동선수에게 상당히 흔한 증후군으로 급 방향전환을 많이 하는 축구, 농구, 미식축구 등등의 운동과 발로 가격을 하는 격투기, 태권도 마라톤, 중, 단기 달리기 등의 거의 모든 운동 또는 족관절 만성 불안정성을 갖고 있는 선수들에게서 이차적인 후유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대개 급격한 수동적 족배굴곡 시 족관절의 전방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골 극이 심하면, 종괴가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대개 방사선 촬영에서 족관절, 경골과 거골부위에 골 극이 관찰되는데, 경력이 있는 운동선수에게는 증상이 없어도 상당수에서 관찰이 되기 때문에, 골 극이 있다 해서 무조건 전방충돌 증후군이 있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 골 극의 증상과의 관련여부를 알기 위해서 골 주사 검사(bone scan)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골 극의 골절로 인해 증상이 유발되기도 하고, 골 극에 의해 거골의 관절면이 손상을 받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 이상의 골 극이나 증상이 상당히 오래 지속된 골 극은 제거를 해주는 것이 후일 관절염을 막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치료는 먼저 족관절의 불안정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먼저 보존적 치료를 일정기간 동안 시행하되, 약 3개월가량을 치료해도 반응하지 않거나 하면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수술은 개방 하에 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데, 관절경을 이용하는 경우는 경골 하단에만 골 극에 있는 경우로 제한되게 된다. 수술 후에는 약 3주간 석고붕대를 시행했다가, 과절운동범위회복, 근력 강화 순으로 재활치료를 시행하는데, 운동으로의 완전 복귀까지는 약 3개월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발목 후방의 손상

족관절 후방 충돌증후군 족관절의 후방에 있는 구조물의 자극을 통해 족관절 후방의 통증 및 관절 운동 제한 등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축구, 중장기 달리기, 발레 등등의 운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원인으로는

  • 해부학적 이상 : 삼각 골, 삼각 돌기
  • 족관절 만성 염좌 후유증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족관절 염좌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치료가 족관절 염좌의 치료이기 때문에 특히 유의를 해야 한다. 대개 통증은 아킬레스건 앞쪽으로 주로 외측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장모지굴건염과 감별을 요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학적 검사상 후면에 환자들이 heel rise를 할 때 뒤꿈치의 높이가 차이를 보이는 것이 중요한 진단의 단서이기도 합니다.

임상적으로는 lidocaine을 족관절 후방에 주사해보고 증상이 없어지는 것으로 확진을 하게 되는데, 대개 이환되었던 시기만큼 물리치료 및 재활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습니다. 일정기간 대개 6개월 이상의 비수술적 요법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그 원인에 따라 삼각 골이나 삼각 돌기를 제거하기도 하고, 족관절의 외측인대를 재건하기도 합니다.
수술 후 재활치료를 시행한 후 다시 운동으로 복귀하는데 까지는 약 3개월의 기간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